전기기사
-
[Lv1] 1장. 전선로 ③ 이도와 애자전기기사/전력공학 2019. 3. 6. 21:27
안녕하세요! 전력공학 3번째 포스팅입니다 전력공학의 송전파트 중 전선로라는 부분을 보고 있는데요 이전 포스팅에서 전선로를 구성하는 전선의 구비조건과 전선의 종류와 그중 ACSR이라는 전선을 봤고 전선의 위험요소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살펴봤습니다 전선로란 전선을 포함해 그 부속설비까지 포함한 개념이라고 했었는데 역시나 핵심은 전선이기에 전선에 대해 계속 살펴보고 있는 것이죠 세부 내용과 함께 이러한 내용의 흐름을 알면 내용을 떠올리기가 더 수월해집니다! * 전선의 이도 계속해서 전선에 대해 알아볼 건데요 이번에 알아볼 내용은 전선의 '이도' 라는 개념입니다 이도는 한마디로 전선의 쳐진 정도를 나타냅니다 수평위치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거리를 이도로 정의합니다 전선이 쳐질수록 좋을까요 수평으로 팽팽한게 좋을..
-
[Lv1] 1장. 전선로 ② 전선의 조건과 ACSR, 전선의 진동과 도약(댐퍼와 오프셋)전기기사/전력공학 2019. 3. 5. 14:57
안녕하세요! 전력공학 두번째 포스팅입니다 본격적으로 1장 내용인 전선로에 대해정리해보겠습니다 '전선로' 란전기가 운반되는 길이라고 했죠 전선뿐만 아니라 철탑과 부속설비까지 포함한 개념이라고 했었습니다 전선과 그 부속설비까지 모두 정리하면1장이 마무리되겠네요 최근 과년도에 자주 나온 것들 위주로보겠습니다 전선부터 하나하나 살펴볼게요 1. 전선의 조건 전선로의 핵심은 역시 전선이겠죠 전류가 흘러가는 길이니까요! 어떤 전선을 사용하는지가 기본적으로 중요할 것입니다 - 도전율이 클 것 - 비중이 작을 것 전선으로 선정할만한 조건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말들입니다 도전율은 전류가 잘 흐르는 정도를 나타냅니다당연히 전류가 잘흐르는게 좋겠죠 비중은 쉽게말해 무게입니다전선이 무거우면 끊어질 염려도..
-
[Lv1] 1장. 전선로 ① 전력공학 서론전기기사/전력공학 2019. 3. 4. 13:45
안녕하세요! 전력공학 포스팅 시작해보겠습니다 실기와의 연관성도 큰 과목이라 잘 정리해두면 실기까지도 편해질 수 있습니다! 전력공학은 발전소에서 전기를 만들고(발전) 만든 전기를 안전하게 보내서(송전) 필요한 곳에 효율적으로 잘 배분되게(배전) 하는 과정을 다루는 과목이라고보시면 됩니다 이중 송전파트가 시험문제 비중이 압도적이라 대부분의 장에서 송전파트를 다루고 배전과 발전파트는 문제에 나오는 것 위주로 다룰 예정입니다 송전파트에서 즉 전기를 보내는 과정에서 우리가 중요하게 다뤄야될 이슈가 뭐가 있을까요? 기본적으로 전기가 흐르는 길인 전선에서전류가 손실없이 잘 흐르고 튼튼해야겠죠 전선의 성질을 이해하고 어떤 전선을 써야할지를공부해야 할 것입니다 전류가 흐르는 길인 전선도 기본적으로 저항(R)을 가지고 있..
-
[Lv1] 3장. 도체계 ② 합성정전용량과 정전에너지(콘덴서에 축적되는 에너지)전기기사/Lv1 전기자기학 2019. 3. 2. 22:14
안녕하세요! 도체계 2번째 포스팅입니다 매일 올리려고 하는데 쉽지 않네요 혹시 보면서 공부하시는 분들 밀리지 않게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3장은 이번에 마무리가 될 것 같네요 오늘 다룰 내용은 합성정전용량과 콘덴서에 저장되는 에너지,정전에너지라고 불리는 개념입니다 먼저 합성정전용량에 대해 알아볼게요 앞에서 여러가지 도체의 정전용량을 구해봤죠 각각의 정전용량을 가진 도체들을 직렬로 또는 병렬로 연결했을 때의 전체 정전용량은 어떻게 될지 알아보겠습니다 이 내용은 이것 자체로 중요하다기보다는 4장의 유전체삽입 부분에서 활용하기 위해 다루는 것이므로 간단히 공식을 암기하고 넘어가는 수준이면 충분합니다 자세한건 4장에서 다룰 예정입니다! 합성정전용량을 다룰때는 평행판콘덴서를 가지고 이야기합니다 (콘덴서는 전하의 ..
-
[Lv1] 3장. 도체계 ① 정전용량전기기사/Lv1 전기자기학 2019. 3. 1. 14:25
안녕하세요! 드디어 3장으로 넘어왔네요 3장의 제목은 도체계입니다 2장에서는 각각의 도체가 혼자 있을 때그 도체 종류별로 전계와 전위를 공부했었는데 3장에서는 여러가지 도체가 각각의 전계와 전위를 가지면서 도체 간에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것을 다루게 됩니다 즉 '도체계' 라는 말은 여러가지 도체가 존재하는 공간으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요~ 둘 이상의 도체가 존재할 때 발생하는 상호작용 중 대표적인 것이 '전하의 축적'이 있습니다 도체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할 때 각 도체에 전하가 모이는 현상이 발생하는데요 이 때 각 도체가 전하를 저장하고 축적할 수 있는 능력을 정전용량 또는 커패시턴스(Capacitance)라고 합니다(기호로 C 라고 쓰고, 단위는 [F]입니다. 패럿이라고 읽습니다) 쉽게 말해 전하를 ..
-
[Lv1] 2장. 정전계 ④ 전기쌍극자와 프와송 방정식, 라플라스 방정식전기기사/Lv1 전기자기학 2019. 2. 28. 11:20
안녕하세요! 전자기학 시작한지 4번째만에 정전계 마지막 포스팅입니다 오늘 살펴볼 내용은 '전기쌍극자' 입니다 과년도에 매우매우 자주 나오는 부분인데 식 2개만 잘 암기하면 거저먹는 부분이기도 하니 잘 알아둬야겠습니다! 하나의 자석에 N극과 S극이 쌍으로 존재하듯이 +Q[C]의 전하와 -Q[C]의 전하가 매우 짧은 거리 δ[m]만큼 떨어져있을 떄 이를 '전기쌍극자' 라는 형태로 해석할수 있습니다 두 전하를 한 뭉탱이로 보고 해석하겠다는 뜻이죠 이 때 Q와 δ를 곱해준 값을 쌍극자모멘트(M)라고 합니다 이 전기쌍극자의 전계의 세기와 전위를 구하는 공식이 있습니다 이 두 공식을 암기하고 있으면 대부분의 문제가 풀립니다 (사실 공식을 몰라도 전기쌍극자의 전계와 전위의 특징을 암기하면 대부분 풀리지만 일부 계산하..
-
[Lv1] 2장. 정전계 ③ 전위와 전기력선전기기사/Lv1 전기자기학 2019. 2. 27. 10:48
안녕하세요! 전자기학 2장 정전계 3번째 포스팅입니다 지난번에 다룬 '전계'의 정의를 기억하시나요? '전계'의 개념에서 '전위'의 개념과 공식이 나오니 이전 내용들 꼭 숙지하시고 오늘 내용 이어가볼게요!! 전계의 세기는 Q[C]의 전하와 +1[C]의 전하 사이의 힘이라고 정의했었습니다 Q가 (+)의 양전하라면 서로 밀어내는 반발력이 작용하겠죠 이 때 +1[C]의 전하를 억지로 Q[C]의 전하쪽으로 가까이 옮기려고 하면? 힘이들겠죠 ㅋㅋ 밀어내려고 하는 힘을 거스르고 억지로 가까이 옮기려면 반발력 이상의 에너지를 투입해줘야 함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물리적으로 '일을 한다' 라고 표현합니다) 전위(V)란 전계를 거스르고 +1[C]의 전하를 움직이는데 필요한 일의양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리에서 일의양은..
-
[Lv1] 2장. 정전계 ② 전계전기기사/Lv1 전기자기학 2019. 2. 26. 11:36
안녕하세요! 이어서 정전계 2번째 포스팅입니다 쿨롱의 법칙 내용 잘 기억하고 계시죠? 이제 나오는 '전계'의 공식이 쿨롱의법칙 공식에서 나옵니다 공식의 두 전하량 중에서 하나를 +1[C]으로 고정했을 때를 전계의 세기라고 정의합니다 "곱하기 1"은 생략할 수 있고 전하가 하나밖에 없으니 첨자로 구분할 필요도 없이 Q라고만 써도 될 것 같네요! 완성된 공식입니다 E라고 쓰고 전계의 세기 또는 전장의 세기라고도 합니다(문제에 전장의 세기라고도 나오니 둘다 알아둡시다) 앞선 포스팅의 F와 비교해보면 쿨롱의 법칙 F의 공식에는 Q가 2개인데 전계의 세기(E)에는 Q가 1개입니다 F에서 Q를 하나 나눠주면 Q가 1개가 되니 E가 되겠네요즉, E=F/Q 의 관계, F=QE 라는 관계가 성립합니다 지금 알아본 전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