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Lv2] 2장. 정전계 ① 전계의 단위([V/m])전기기사/Lv2 전기자기학 2023. 7. 14. 17:35
안녕하세요! Lv2 전기자기학 시작하겠습니다 Lv1의 내용을 토대로 반복되는 뼈대내용과 추가되는 내용을 구분하면서 학습하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2장 정전계부터 살펴보겠습니다 Lv1에서도 다루었듯이 정전계는 정지해 있는 전하의 공간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정지해 있으므로 에너지가 최소가 되는 안정적인 상태입니다 움직임 자체가 없으니 에너지가 최소가 되고 안정적이라는 내용을 직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데, 이 내용이 출제된 적이 있으므로 가볍게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2장을 Lv1에서 다룰 때는 크게 ➀ 쿨롱의법칙 ➁ 전계 ➂ 전위와 전기력선 ➃ 전기쌍극자와 프와송방정식, 라플라스방정식 의 네 가지 챕터로 나누어 다루었습니다. 이 내용을 토대로 추가로 살을 붙여보는 게 Lv2의 내용입니다. 2장은 진공(혹은..
-
Lv2 전기자기학 포스팅 계획전기기사/Lv2 전기자기학 2023. 7. 10. 22:31
안녕하세요! 오랜만입니다 :) Lv1 마지막 포스팅을 한 지가 정말 오래 되었네요 긴 시간동안 전혀 신경을 쓰지 못했지만 꾸준히 방문해주시는 분들이 계시고 댓글을 달아주시는 분들이 계심에 감사합니다 직장생활과 더불어 더 이상 도움이 될만한 글을 쓸 수 있을지에 대한 회의감에 블로그를 한참 외면했던 것 같습니다 요즘은 좋은 강의와 플랫폼들이 많이있어 전기 자격증을 공부하는 분들에게 많은 선택지가 생긴 것 같은데 그럼에도 부족한 제 글들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고 하는 분들이 계시다면 제 능력 닿는 선에서 도움을 드릴 수 있다면 좋을 것 같아 포스팅 계획을 가지고 준비해보려 합니다 맨처음 전기자기학 포스팅 당시 계획했던대로 핵심적인 부분 위주로 Lv1 포스팅 이후 회독수를 늘려가며 핵심 부분을 반복하고 살을..
-
[Lv1] 1장. 직류회로 ② 저항의 성질과 합성저항(직렬과 병렬)전기기사/회로이론 2019. 7. 4. 22:31
안녕하세요! 1장 두번째 포스팅입니다 앞서서 전압,전류,저항에 대해서그리고 옴의법칙과 키르히호프법칙을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항'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살펴보려고 합니다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방해하는 성분이라고 했습니다 저항의 크기가 클수록전류가 더 많이 방해받으므로전류의 크기는 작아진다고 했었죠 저항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① 저항의 길이 ② 저항의 단면적 ③ 고유저항 이렇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이번에도 물에 대응해서살펴보겠습니다 ① 저항의 길이 수로관을 잘 지나던 물이물이 잘 흐르지 못하는장애물을 통과한다고 해봅시다 이 장애물의 터널이 길수록물의 흐름은 더 많이 방해받겠죠즉 물의 흐름의 저항이 더 커집니다 마찬가지로저항의 길이가 길수록저항의 크기는 커집니다 ② 저..
-
[Lv1] 1장. 직류회로 ① 옴의법칙과 키르히호프 법칙전기기사/회로이론 2019. 7. 1. 22:32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포스팅을 하게 되네요 이번부터는회로이론을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회로이론은 전기자기학과 함께다른 과목의 이론적 베이스가 된다는 점에서중요한 과목입니다 따라서 기본부터 차근차근 해나가는 것이 차후의 내용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중요하지만 앞선 전기자기학 포스팅 때도 언급했듯이 모든 내용을 처음부터 꼼꼼히 보는 것은회독의 시간도 너무 오래걸리고지치는 공부가 되는 것을 경험했기 때문에 우선은 전기기사를 위해 필요한 내용들즉 문제를 풀기 위한 개념들 위주로 추려서 다루고 조금 까다로운 내용이나정확한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는 것은차후에 차근차근 내용을 레벨업해서 공부하려고 합니다 또한 전기기사의 경우는회로이론과 제어공학을 함께 출제하기 때문에 회로이론만을 출제하는 전기산업기사와는세세한 문제유형에서 조..
-
[Lv1] 7장~12장 자기 파트 복습전기기사/Lv1 전기자기학 2019. 4. 24. 18:40
안녕하세요! Lv1 전기자기학이 드디어 마무리 단계네요 마지막으로 7장부터 12장의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2장부터 6장이 전계에 대한 내용이었다면 7장부터 11장까지는 자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12장에서는 전계와 자계를 함께 다루었습니다 7장 '정자계' 는 정전계 파트에서 다룬 내용을 자석의 힘이 존재하는 공간인 '자계'로 바꾸어 생각하는 파트입니다 - 쿨롱의법칙과 투자율 자계에서도 쿨롱의 법칙이 적용됐었습니다. $6.33×10^4$이라는 상수가 존재했고 유전율에 대응하는 투자율의 개념도 봤었습니다 쿨롱의법칙에서 자계의 정의가 나오는것도 공부했습니다 쿨롱의 법칙에서 다룬 힘과 자계 사이의 관계도 살펴봤었지요 ($F=mH$) - 자기력선과 자속 및 자속밀도 자계의 세기를 가시화한 자기..
-
[Lv1] 12장. 전자장(고유임피던스, 전파속도, 포인팅벡터)전기기사/Lv1 전기자기학 2019. 4. 17. 15:02
안녕하세요! 드디어 마지막장입니다 이번 12장은 한번만에 끝낼수 있을것 같습니다 자주 나오는 내용 위주로식 정리한다는 생각으로보시면 됩니다 2장~6장까지는전계에 대한 내용을 7장~11장까지는자계에 대한 내용을각각 정리했습니다 12장의 전자장은전계와 자계가 한꺼번에등장하는 공간을 다루는데이것을 '전자장'이라고 합니다 전자장 내에서전계와 자계가 혼합되어 있는파동을 '전자파'라고 합니다 (전자파라는 말많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전자파의 특징이몇가지 있는데요 (1) 전계와 자계는 서로 수직 전계(E)와 자계(H)는 서로 90˚관계입니다 전자파라고 검색해보시면두 개의 파형이 서로90도를 이루는 것을보실 수 있습니다 (2) 전계와 자계가 동상 동상은 위상이 같다는 뜻으로전계와 자계가 서로 크기는 다를지라도 같은 변..
-
[Lv1] 11장. 인덕턴스 ② 상호인덕턴스와 결합계수, 동축케이블의 인덕턴스전기기사/Lv1 전기자기학 2019. 4. 11. 16:45
안녕하세요! 11장 두번째 포스팅입니다 상호인덕턴스라는 개념을보려고 합니다 상호(Mutual)라는 말에서두 개의 코일 상호 간의인덕턴스라는 것을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 앞선 포스팅에서 봤던 인덕턴스 L값은자기인덕턴스(Self-Inductance)라고도합니다 코일에 전류를 흘려줄때 전류를 흘려준 바로 그 코일에서 자체적으로 자속이 얼마나 생기는 지를나타내는 값입니다 이에 비해 상호인덕턴스(Mutual-Inductance)는 나의 코일이 아닌 다른 코일의자속이 나의 코일에 영향을 줘서 전류를 흘려주지 않은나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하는능력을 말합니다 한번 더 정리하면자기인덕턴스는 자기 코일에전류를 흘렸을 때 자기 코일에자속이 얼마나 생기는지를 나타내고 상호인덕턴스는 다른 코일에서생긴 자속에 의해 자기 코..
-
[Lv1] 11장. 인덕턴스 ① 인덕턴스 개념, 단위 및 공식(솔레노이드), 유기기전력전기기사/Lv1 전기자기학 2019. 4. 8. 17:03
안녕하세요! 11장 시작하겠습니다 '인덕턴스(L)'에 대한 내용을보려고 합니다 회로이론에서기본이되는 소자가R,L,C 입니다 전기자기학에서원리를 공부하고회로에서는 이론적인 내용을 활용해서 만든 소자의 기능 위주로 다루는 것이죠 저항R과 정전용량C는앞에서 다루었고이제 인덕턴스L을 보면 R,L,C를 모두 보는셈입니다 *** 8장과 9장에서 도체 또는 코일에 전류를 흘려주면 자속이 발생함을 공부했습니다 이 때 전류를 많이 흘려주면 발생되는 자속도 많을겁니다 Φ ∝ I 인 것이죠 만약 코일의 감은 권수가 N이면전류가 흐를때 발생하는 전체자속의 양은 자속 Φ에 권수 N을 곱한 값이 됩니다이 NΦ값이 전류 I와 비례관계가 되겠죠 즉 NΦ ∝ I 입니다 ( 직선 도선, 원형 도선 등은 감은 횟수 N을 1로 보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