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Lv1] 7장. 정자계 ② 자위와 자기쌍극자, 막대자석의 회전력(토크)과 일에너지전기기사/Lv1 전기자기학 2019. 3. 18. 18:28
안녕하세요! 7장 두번째 포스팅입니다 정자계에서 남은 내용들을 정리하고 7장 마무리하려고 합니다 먼저 자위에 대한 내용을 보겠습니다 * 자위 자위는 2장에서의 전위에 대응되는 개념입니다. '전'이 '자'로 바뀐것 뿐이죠 자위는 '자기적 위치에너지' 라는 뜻이고 자하 또는 자극이 자계의 방향을 거슬러서 이동하는데 필요한 일의 양으로 정의됩니다 (자세한 설명은 전위 부분과 완전히 동일하므로2장의 ③번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즉 자위(U)는 $$U=H · r$$ 입니다 (전위가 $V=E·r$인 것을 상기하시면 좋습니다) 자계 H가 $H=\frac{m}{4πμr^2}$ 이므로 $$U=H · r = \frac{m}{4πμr^2} = \frac{m}{4πμr}$$이 됩니다 * 자기쌍극자 2장의 전기쌍극자에 대..
-
[Lv1] 7장. 정자계 ① 자극의세기와 자계, 자기력선 및 자속과 자속밀도전기기사/Lv1 전기자기학 2019. 3. 16. 14:43
안녕하세요! 드디어 전기자기학의 전기를 마치고 자기 파트로 넘어왔습니다 자기 파트의 첫 챕터가 '정자계' 인데요 2장의 '정전계' 에서 '전' → '자'로 바뀐 것뿐이라고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내용 흐름이 유사합니다 전기쪽에서 썼던 용어와 기호를자기쪽에 맞게 바꿔주기만 하면되기 때문에 2장의 정전계를 잘 알고 있는 것이중요하겠네요! * 정자계, 자하, 자극의세기 정자계는 '정지해 있는 자하들의 공간'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 때 자하란 자기적 성질을 가진 기본입자입니다 자하량은 m으로 나타내고단위는 [Wb] (웨버) 라고 합니다 보통 자기는 자석의 형태로 다룹니다한쪽끝을 N극 다른쪽끝을 S극이라고 합니다 자석 양극단의 세기인 자극의세기가자하량에 의해 결정되므로자하량과 자극의세기는 같은 것으로 봅니다 (자..
-
[Lv1] 2장~6장 전기 파트 복습전기기사/Lv1 전기자기학 2019. 3. 14. 18:34
안녕하세요! 어느덧 6장까지 마치고 전기 파트를 마무리했는데요 대략적인 이론적 흐름을 되새기고 중요 공식들을 한번 더 상기하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2장부터 5장까지는멈춰있는 도체나 전하들 사이에작용하는 전계나 정전용량 등을 구해봤죠 6장은 움직이는 전하인전류를 다루는 챕터였습니다 정지해 있는 전하의 공간을정전계라고 합니다 - 힘과 전계 정전계를 이루는 기본 단위인 전하에 대해서 공부하고 전하와 전하 사이의 힘을 구하는 공식을 알아봤습니다 이렇게 구한 힘으로부터전계를 정의했었구요 전계는 도체마다 각각 달라서도체마다 전계를 구하는 식을 공식으로 정리했습니다 - 전위 이러한 전계를 거스르는 방향으로전하를 움직이는 것을 전위가 높아진다고표현하면서 전위에 대한 정의를 했었습니다 여러 도체..
-
[Lv1] 6장. 전류 ② 열전현상 및 여러 전기현상, 패러데이관, 곡률전기기사/Lv1 전기자기학 2019. 3. 13. 20:00
안녕하세요! 6장 두번째 포스팅입니다 이것으로 전기 부분 마무리가 되네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열전현상 등 여러가지 전기와 관련된 현상들을 알아보겠습니다 * 열전현상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열과 전기가 상호작용할 때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열전현상의 종류로 3가지 효과가 시험에 나오는데요 각각의 효과의 주요 키워드를 캐치해서 문제에서 답을 골라낼 수 있으면 됩니다 1. 제어백 효과 제벡, 제베크 또는 지벡 효과라고도 합니다 서로 다른 두 금속을 접합하고 열에너지를 가하면 기전력(열기전력)이 발생하는 효과입니다 (열 → 전기) ( 기전력이라고 하면 괜찮은데열기전력이라고 하면 열이 발생하는 건지전기가 발생하는건지헷갈릴 수 있습니다 열기전력도 결국 기전력이 발생한다는 말이므로 열이 발생하는 게 아니라전기가 발생하는 것입..
-
[Lv1] 6장. 전류 ① 저항과 옴의법칙, 저항과 정전용량의 관계전기기사/Lv1 전기자기학 2019. 3. 12. 14:09
안녕하세요! 어느덧 6장입니다 전기자기학이 크게 전기와 자기파트로 나눠지는데요 6장까지가 전기 파트이고7장부터 자기 파트를 다루게 됩니다 이번 장이 끝나면 전기 부분이 마무리되는거네요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6장 제목은 전류입니다 2장의 정전계가 '정지해 있는 전하들의 공간' 이라고 했었던 것 기억하시나요 그동안 멈춰있는 전하 또는 도체가 진공 또는 유전체에서 받는 힘과 전위 등을 계산했는데요 이번 장에서 다루는 '전류'는 '움직이는 전하'에 대한 내용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와 (-)로 구성된 전원을 전선으로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면 (+)와 (-)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여 지속적으로 (-)전하가 (+)쪽으로 이동하는 전하의 흐름이 생깁니다(회로이론에서 자세히 다룹니다) 이러한 흐름을 전..
-
[Lv1] 5장. 전기영상법(무한평면 및 접지구도체와 점전하, 대지면과 선전하)전기기사/Lv1 전기자기학 2019. 3. 9. 19:31
안녕하세요 어느덧 5장으로 넘어왔네요 이 장은 전계의 특수해법이라고 하는 전기영상법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어떤 특수한 상황에서의 전하밀도나 힘의 크기등을 구하는 방법을 공부하게 되는데 공식 몇개만 암기하고 넘어가면 그 공식만 물어보는 문제가 대부분이므로 간단하게 정리하고 넘어갈 수 있습니다 전기영상법에서 영상이라는 말은 회로이론이나 전력공학에서의 영상분과는 다른 의미입니다 여기서는 이미지(image)의 의미입니다 가상의 전하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는 의미입니다 전기영상법을 이용한 문제풀이는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눠집니다 1) (접지)무한평면과 점전하 2) 접지 구도체와 점전하 3) 대지면과 선전하 1) (접지)무한평면과 점전하 +Q[C]의 어떤 점전하와 거리 d 만큼 떨어진 지점을 살펴봅시다 그 지점에..
-
[Lv1] 4장. 유전체 ② 유전체를 삽입한 콘덴서전기기사/Lv1 전기자기학 2019. 3. 8. 20:20
안녕하세요! 4장 유전체 두번째 포스팅입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은 "유전체를 삽입한 콘덴서" 입니다 유전체란 '전하가 움직이는 공간' 중에 진공이나 공기를 제외한 물질들이라고 이해하면 된다고 했었죠 3장에서 콘덴서의 직병렬 연결에 대해 알아본적이 있습니다 그러면서 그 내용은 4장의 유전체삽입 부분을 이해하기 위해 설명하는 것이라고 했었습니다 3장에서 다룬 평행판콘덴서의 정전용량 공식은 $$C=\frac{ε_0 S}{d}$$ 입니다 이것은 콘덴서 사이가진공 또는 공기로만 되어있을 때의 공식입니다 유전율이 ε인 유전체가 콘덴서 사이를채우고 있다면 정전용량은$$C=\frac{εS}{d}$$가 될 것입니다 이 유전체가 비유전율이 $ε_s$이라면$$C=\frac{ε_0 ε_s S}{d}$$로도 표현이 가능하겠죠 여..
-
[Lv1] 4장. 유전체 ① 유전체와 비유전율, 경계조건전기기사/Lv1 전기자기학 2019. 3. 7. 21:57
안녕하세요! 전기자기학 4장으로 넘어왔습니다 2장과 3장의 내용이 개념적으로 계속 이어지기 때문에 앞장 내용들도 잘 알고 있어야겠습니다 2장 정전계에서 각 도체의 전위와 전계를 계산하는 공식들을 알아봤고 3장 도체계에서 도체와 도체 사이의 정전용량을 계산하고 콘덴서에 축적되는 에너지까지살펴봤습니다 이 때 2장과 3장에서 공부한 내용들은 진공중 또는 공기중에서 다루는 것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진공과 공기는 동일하게 취급합니다) 별다른 언급이 없다면 진공이나 공기중이라고생각하면 되는데요 4장에서는 진공(공기)이 아닌 상황에서 전계나 전위 등을 구하면 어떻게 되는지를공부하는 챕터입니다 4장 제목이 '유전체' 라고 되어 있네요 진공이 아닌 물질에서의 전계, 전위, 정전용량 등을 이야기할 때 진공이 아닌 그 물..